정보/리포트 (과제)

[대학 과제] 사례를 통해 본 병원 건축의 방재계획에 관한 연구 - 건축방재학 - 산업안전공학과

GET2 2023. 3. 26. 08:09
728x90
반응형

산업안전공학과 늦깍이 대학생활을 하면서 학기 중 제출하는 레포트(과제)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제 과제 결과물이 보는 분에 따라서 퀄리티에 대한 평가는 모두 다르겠지만, 이런 식으로 접근하는 사람도 있구나 또는 과제 문서가 백지인 상태에서 가이드 정도만이라도 참고가 되시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공유합니다.

 

대학 과제 건축방재 산업안전공학

반응형

과제 조건 : 국내외 병원의 건축 설계상의 이유로 발생한 재해 사례를 찾아 요약하고 느낀 점을 제출

 

1. DOC 파일은 아래 첨부파일 다운로드로 가능합니다.

2. DOC 파일 내용과 블로그의 과제 내용은 과제 제출 참고 용도로만 사용하셔야 합니다.

3. 허용하지 않은 도용 및 게시는 금지합니다.

4. 꾸준히 과제 공유를 할 수 있도록 블로그 내 광고 한번씩 클릭 부탁드립니다.

 

 

사례를 통해 본 병원 건축의 방재계획에 관한 연구_건축방재학_(이름)_(학번).doc
0.38MB

 

 

 

사례를 통해 본 병원 건축의
방재계획에 관한 연구
학교 로고
 
 
 
과목명 : 건축방재학
담당교수: OOO 교수님
 
학과 : 산업안전공학과
학년 : 0학년
학번 : 00000000
이름 : 000
제출일 : 20XXXXXX

목차

1.   서론 ……………………………………………………………………………………….. 3P

2.   본론 ……………………………………………………………………………………….. 4P

3.   결론 ……………………………………………………………………………………….. 9P

4.   참고문헌 …………………………………………………………………………………. 10P

5.   느낀점 ……………………………………………………………………………………. 11P

 

1. 서론

병원은 환자와 직원으로 구성된 건물이다. 병동에는 자력으로 보행하여 계단으로 피난 할 수 있는 사람은 적고, 누군가의 보조가 없으면 병실에서도 이동할 수 없는 사람이 오 히려 많다. 또한 입원 환자가 있기 때문에 24시간 운영한다. 심야에는 각 간호단위에 2명 정도의 간호사밖에 없다는 사실을 생각해 보면 환자 전원을 피난시키는 데에 상당한 시

간을 요하므로, 일단 화재가 발생하면 많은 인명손상과 직결된다. 그러므로 야간에도 비 상대응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와 같은 특징은 방재계획 수립에 중요한 요건이다.

따라서 병동에서는 일반 건축물과 같은 피난계획으로는 불충분하며, 병원에서의 화재에

대한 안전대책은 특히 중요시 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국내외 병원의 화재사고 사례와 방재계획 사례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병원 건축의 방재계획상 취약점, 미비점 등을 도출해 내고자 한다.

 

2. 본론

2.1 국내외 병원 건축의 화재 사례

일반적으로 병원 화재의 원인은 방화에 의한 것이 많다. 특히 정신과 병동이 병설되어 있는 병원에서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할 지점을 예측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창을 통한 피난 시, 특히 정신병동의 경우 창에 철창망이 설치되어 있어 피난이 어려워

사망자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스프링클러 설비 등으 로 초기 소화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내의 경우 병원의 화재 건수도 적고, 화재 건수에 대한 인명 피해율도 여관, 호텔보

다는 낮다. 1990년 이후의 병원 화재 사례를 살펴보면 대부분 전기와 관련된 화재가 많

, 유지관리 작업 도중의 용접 불티, 담뱃불 등으로 인한 화재도 많다. 그리고 국내에서 도 정신과 병동이 증가하고 있어, 방화에 의한 화재사고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외 주요 병원 건축의 화재사례는 다음 표와 같다.

  

2.2 국내외 병원 건축의 방재계획 사례

국외 사례

일본 가와사키시립 가와사키(川崎)병원

 

이 병원은 복도와 발코니의 2방향 피난이 가능하게 계획되어 있다. 병원에서는 보통

「수평피난」이 추천된다. 병동 계단을 이중으로 방화구획하고, 화재 시에는 우선 비화재 구획에 수평으로 피난한다. 또한 발코니 경유로 복도가 연기에 오염되어도 피난할 수 있는 형태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병원은 이 두 가지 구조를 채용하여, 기준층을 분할하 고, 주위를 피난용 발코니로 둘러싸고 있다.

이 계획에서는 피난경로 도중에 일시적으로 체류 가능한 1차피난공간을 두고 있으며, 1차피난공간은 충분한 넓이를 보유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비상용 엘리베이터와는 별도로 bed로 피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도 설치 하여 구조 및 피난을 고려하고 있다. 이 엘리베이터는 평소에는 bed 반송용으로 사용하다

, 비상시에는 비상용 엘리베이터와 같은 형태로 비상용 전원으로 변환하여, 방재센터 등과 연동한다.

소방대는 비상용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접근하고, 복도 및 외부발코니에서 구조 · 소 방 활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재 시에는 연기에 포위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피난상 중요한 공간을 가압방연시스템 으로 하고 있다. 또한 헬리포트도 이용가능하고, 전관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한신(). 다이로() 대지진의 교훈을 기초로 대지진에도 견딜 수 있는 내 진 설계가 되어 있으며, 큰 흔들림을 억제하는 제진장치도 설치하고 있다.

 

국내 사례

S병원

 

이 병원은 복도의 막다른 곳에 계단이 배치되어 있어 피난이 용이하고, 병원 전체 구조 상 피난방향의 혼돈 우려가 적다. 그리고 ''구역이 다른 부분과 구획되어 있어, 병원 화 재시 유용한 수평피난이 가능하다.

복도에 기둥 등의 기타 장애물이 없으므로 들것이나 들것 대용 매트리스로 운반되는 보행이 불가능한 사람의 이동이 용이하나, 발코니가 없어 복도 · 발코니의 2방향피난에 무리가 있어 복도 오염 시 피난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중앙에 엘리베이터가 집중되어 있고, bed 반송은 중앙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가능하 나, 단부 엘리베이터는 그 크기나 승강장 폭의 면에서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중앙

부근에서 화재 발생 시 환자의 피난에 어려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서로 인접한 2개의 방화구획 수평면의 비상구로 사용되는 문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열리는 2개의 문짝으로 된 문을 사용하거나 기타 이와 동등한 형태의 문을 사용해야한다. 라는 NFPA 규정에 대해 이 병원의 경우 한 방향으로만 열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수평피 난시 ''지역이 대피장소가 될 경우 문방향이 피난방향과 반대가 되어 피난 시 혼란이 우려된다.

전층 스프링클러 등의 소방시설과 헬리포트가 설치되어 있다.

 

3. 결론

병원 건축의 화재사례 및 방재계획 사례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점을 도출해 낼 수 있다. (1) 일반적으로 병원에서의 화재원인은 방화에 의한 것이 많다. 특히 정신과 병동이 병 설되어 있는 병원에서 더욱 그러하다. 국내의 경우 병원의 화재 건수도 적고, 화재

건수에 대한 인명 피해율도 낮은 편이나, 정신과 병동을 증가, 설치하도록 하고 있

어 방화에 의한 화재사고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 일본의 병원 건축 방재계획 사례를 살펴보면, 복도와 발코니의 2방향 피난이 가능 하고, 수평피난을 위한 구획도 잘 되어 있다. 또한 복도의 막다른 곳에 계단 배치,

대기공간의 설치, bed 반송용 엘리베이터의 설치 등 비상 시를 대비하여 계획되어 있다. 그리고 방재거점병원으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진 설계가 되어 있다.

(3) 국내 병원 건축의 방재계획 사례를 살펴보면, 발코니가 없어 복도 · 발코니의 2

향 피난이 어렵고, 평면상 구획이 되지 않은 층도 많아 수평피난이 불가능하다. 또 한 복도의 막다른 곳에 계단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bed 반송을 위한 엘리베이터 위치의 편중과 그 승강장의 넓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등 일부 미비한

점도 있었다.

 

4. 참고문헌

1. 김광문, 병원건축, 102-105p, 세진사, 1999

2. 일본건축센터, 건축방재계획지침, 250-255p, 한국화재보험협회, 1997

3.日本建築學會,性能規定化時代刃防災 · 安全計劃, 62-67p, 彰國社, 2001

4. 森田武,世界刃高層·超高層·々高層Ëᄮ火災, 近代消防社,1998

5. NFPA 101 Life Safety Code, 2000

6. 김광문, 병원건축의 화재에 대한 안전계획, 한국화재학회지 3 3, 27-36p, 19899

 

5. 느낀 점

본 논문이 발표된 2004년 까지의 우리나라와 일본의 병원 내부 방재 설계 계획에서 일본의 준비성이 더욱 철저했다는 부분을 발견했다. 일본 병원의 경우 피난 방향과 경로를 다원화하여 화재 등의 재해 발생 시 위험도를 낮추었으나 우리나라 병원의 경우 복도의 막다른 곳에 비상탈출 경로가 계획되지 않는 등 미비한 점을 발견하였다.

1953727일 한국 전쟁의 정전 협정 이후 50여년의 시간 경과에 비해 나라의 국력과 국민의 소득수준은 높아졌지만 방재에 대한 기획과 계획은 더 많은 발전이 이루어져야 함을 느끼게 되었다.

 

0000학과 X학년 000(학번)

 

--

728x90
반응형